“온실가스 때문에 북극곰 굶는날 40년새 11배…새끼 생존률도 낮춰”_오늘 경기 승리 베팅 예측_krvip

“온실가스 때문에 북극곰 굶는날 40년새 11배…새끼 생존률도 낮춰”_베토카레로 공항_krvip

온실가스 배출량과 북극곰의 단식 기간·생존율 간의 상관관계를 구체적 수치로 나타낸 연구 결과가 발표돼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미국 워싱턴대·와이오밍대와 북극곰 보호단체 ‘폴라베어인터내셔널’의 공동 연구진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북극곰 주요 서식지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한 논문을 현지 시각 지난달 31일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은 북극곰 주요 서식지 15곳에서 온실가스 배출량과 사냥터인 바다 얼음(해빙)이 없어 북극곰이 먹이를 찾지 못해 굶는 기간 즉 단식 기간을 분석하고, 새끼 북극곰이 독립할 때까지 살아남는 비율과의 상관관계를 정량화했습니다.

이를 통해 축치해에 서식하는 북극곰들의 경우 1979년 12일이었던 단식 기간이 2020년에는 137일로 11배 이상으로 길어졌다고 밝혔습니다. 보퍼트해 북극곰의 단식 기간은 같은 기간 50.7일에서 125일로 두 배 이상으로 늘었습니다.

연구진은 또 대기 중으로 온실가스가 14Gt(기가톤) 방출될 때마다 축치해 북극곰의 단식 기간이 하루씩 늘어난다고 분석했습니다.

연구진은 이와 함께 북극곰 단식 기간이 연 117일을 넘는 해가 5년 사이 3년 연속 이어지는 경우를 ‘신규 개체 충격 한계선’으로 설정하고 이때를 전후로 온실가스 배출량과 새끼 북극곰 생존율을 계산했습니다.

가장 유명한 북극곰 서식지 중 하나인 허드슨만 서부 지역의 경우 1994년에 이 한계선을 넘었는데 1994년∼2020년 사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고려하면 1980년대에 70% 수준이던 새끼 북극곰의 생존율이 현재는 49%로 떨어졌을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연구진은 이러한 계산 결과가 최근 수년간 관찰된 북극곰 개체 수 감소 추정치와 일치한다면서 “2021년 수치로는 이 지역 북극곰 개체 수가 1980년대 후반 이후 거의 절반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고려하면 현재 연간 새끼 북극곰의 생존율은 32% 정도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진은 또한 미국에 있는 발전소 수백 곳에서 30년 동안 배출하는 온실가스 60Gt이 남보퍼트해의 북극곰 생존율을 최대 4%p 낮출 수 있다고 봤습니다.

AFP통신은 이와 관련, 현재 전 세계에서 매년 50Gt 온실가스가 대기로 배출되고 있으며 이는 남보퍼트해 개체군의 새끼 북극곰 생존율을 매년 3%p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가 멸종위기종인 북극곰을 보호하기 위한 규제 도입에 근거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