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에서 폐쇄로…구글 ‘공공의 적’ 되나?_칸 코레 빙고_krvip

개방에서 폐쇄로…구글 ‘공공의 적’ 되나?_모토로라 휴대폰 카드 슬롯이 뭔가요_krvip

"개방성은 생태계를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네트워크를 확장하려는 전략이다" 미디어전문가 윤지영 박사가 올 초 출간한 저서 '오가닉 미디어'에서 한 말이다. 개방성을 무기로 성공한 정보기술(IT) 사업자가 결국 폐쇄적 정책으로 이익을 극대화하는 상황을 꼬집은 것이다. 이러한 지적은 전 세계 모바일 운영체제(OS)를 장악한 구글과 애플의 최근 행보에 비추어 보면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업계에서는 개방을 기치로 안드로이드 생태계를 공고히 구축한 구글이 최근 네트워크 통제권을 강화하는 등 폐쇄성을 점차 드러내고 있다는 볼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업계 전문가들은 구글이 네트워크 규모가 임계점에 다다르자 개방에서 폐쇄로 전략을 돌린 것이라고 분석한다. ◇ '구글의 적'이 구글?…적수가 없다 7일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2009년 3.9%에 불과했던 안드로이드 OS의 시장점유율은 지난해 4분기 78.4%로 급성장했다. 같은 기간 애플은 14.4%에서 소폭 성장한 15.6%로 2위를 유지하고 있다. 전 세계 모바일 OS 시장의 90% 이상을 구글과 애플이 평정한 셈이다. 특히 국내 시장은 구글의 독식체제로 치닫고 있다. 안드로이드의 국내 OS 시장 점유율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93.4%에 달한다. 한국무선인터넷연합회에 따르면 구글과 애플은 지난해 국내 모바일 콘텐츠 시장(2조4천300억)의 80%에 달하는 2조 원가량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추산된다. 이런 가운데 시장에서는 안드로이드를 견제할 유일한 경쟁자가 '안드로이드 오픈 소스 프로젝트(AOSP)'밖에 없다는 역설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구글의 대항마가 곧 구글이 되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 통제권 강화·폐쇄적 정책 통보…싫으면 나가라? 안드로이드를 등에 업은 구글은 이제 공개적으로 폐쇄적 전략을 펼치고 있다. 스마트폰 제조사에 모든 안드로이드 폰에 '4.4버전(킷캣)'을 반드시 탑재해야 한다고 강요한 문서가 최근 유출된 것이 대표적 사례다. 넥서스 프로젝트 대체용으로 내놓은 것으로 알려진 '안드로이드 실버 프로그램'도 플랫폼 통제를 위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 프로그램은 제휴를 맺은 제조사와 이동통신사의 선탑재 앱을 구글이 삭제하거나 제한하는 대신, 해당 기기에서 구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가장 빠르게 제공한다"며 "모바일을 장악한 구글이 전방위적으로 통제권 강화에 나선 것"이라고 말했다. 구글플레이에 독립 앱마켓의 등록을 막은 것도 타사 앱마켓과의 경쟁 가능성을 철저히 배제하려는 전략이라는 지적도 있다. 안드로이드폰에서는 타사 앱마켓을 설치하려면 '설치가 차단되었다'는 메시지와 함께 보안상 이유로 구글플레이를 통한 내려받기만 가능하다는 설명이 붙는다. 그래도 계속 설치하고자 한다면 스마트폰 설정에서 12단계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실정이다. '앱 내 결제'(IAP)를 폐쇄적으로 운영해 개발사의 선택권을 제한하고 자사 결제 모듈만 강제한다는 비판도 나온다. 구글은 2년 전 구글플레이에서 앱을 유통하는 개발사에 보낸 공문에서, 반드시 구글의 자체 결제 수단을 써야 하며 이를 지키지 않으면 해당 앱을 삭제하겠다고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애플이 애초부터 폐쇄적 정책을 고수해왔다면 구글은 개방을 표방하며 모바일 시장을 장악한 이후 폐쇄적으로 가고 있다"면서 "당분간 공정한 경쟁환경은 조성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구글 타도' 세계 각국서 소송 잇따라 'IT 공룡' 구글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는 이제 소송전으로 번지고 있다. 미국의 소비자 집단소송 로펌 '하겐스 버먼'은 지난 5월 구글이 안드로이드폰에 자사 앱을 사전 탑재하는 협약을 제조사와 맺어 경쟁을 침해하고 반독점법을 위반했다며 법원에 소장을 냈다. 이 협약은 결과적으로 스마트폰 서비스의 품질을 떨어뜨리고 단말기 가격을 높여 시장에 피해를 줬다는 게 원고 측 주장이다. 앞서 4월에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오라클 등 반(反)구글 연합인 '페어서치'도 구글이 안드로이드 OS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구글의 검색엔진만을 선탑재했다며 유럽연합(EU) 규제 당국에 제소했다. 지난달에는 포르투갈의 독립 앱마켓 사업자 앱토이드사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에 소송을 제기했다. 구글이 제3자가 운영하는 독립 앱스토어를 불공평하게 시장 밖으로 밀어냈다는 주장이다. 독일은 아예 정부가 나서 유럽 내 반 구글 정서의 심각성을 내비쳤다. 지그마르 가브리엘 독일 부총리 겸 경제장관은 지난달 현지 언론에 기고한 글에서 "구글이 시장 지배력을 남용한 것으로 확인되면 구글을 강제 분할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 네이버와 다음커뮤니케이션이 2011년 4월 "자사의 검색엔진만을 선탑재하고 국내사의 검색 프로그램을 배제하도록 강제한 의혹이 있다"며 구글을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했으나 공정위는 구글에 대해 '혐의 없음' 결론을 내린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