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교육 인식 조사 “대입 전형, 내신보다는 수능 반영 높여야”_모든 포커 예금에 대한 무료 보너스_krvip

국민 교육 인식 조사 “대입 전형, 내신보다는 수능 반영 높여야”_미친 문구로 돈을 벌다_krvip


■ 대학입시 “내신보다 수능 반영 높여야…봉사활동도 비중 늘려야”

최근 10년 동안 대학입시전형에서 고등학교 내신보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을 더 반영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아졌습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자녀의 입시 비리 의혹 등 '아빠 찬스' 사례가 잇따르면서 정시모집이 더 공정하다는 여론이 강해진 것과 비슷한 맥락인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교육개발원이 50주년을 맞아 진행한 교육정책포럼에서 나온 '교육에 대한 국민 인식과 미래교육정책의 방향' 여론 조사 결과입니다. 개발원은 1999년부터 국민들의 교육 현실 인식, 만족도 등을 파악하려고 해마다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만 19~75세 성인 남녀 4천 명이 조사에 참여했습니다.

대입에서 가장 많이 반영돼야 할 항목으로 ‘수능’을 택한 응답자가 2021년 30.9%로 1위였습니다. 이는 10년 전인 2011년 25.5%보다 5.4%포인트 올랐습니다.


반면, 2011년 35.0%로 1위였던 ‘고교 내신’은 어떨까요?
2021년 조사에선 13.9%로 10년 만에 20%포인트 넘게 떨어졌습니다.
또 ‘인성 및 봉사활동’은 2011년 12.4%에서 2021년 26.6%로 14.2%포인트 올랐습니다.

그렇다면, 연령별 인식은 어땠을까요?


2011년 모든 연령대에서 '고교 내신'이라고 답한 비율이 30%를 넘었고 특히 50대 이상 38%이었습니다. 그런데 2021년 조사에서는 달라졌습니다. '고교 내신'이라고 답한 비율이 최대 15.8% 정도로 크게 떨어졌죠. 다만, 인성이나 봉사활동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응답률도 높아졌습니다.

문재인 정부는 2019년 대입 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을 발표하고 수시 학생부종합전형(학종) 비중이 높은 서울 주요 16개 대학에 2023학년도까지 정시 비중을 40% 이상 늘리라고 한 바 있죠. 2024학년도부터는 봉사활동은 대입에 활용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국민들의 생각은 정부 정책과 비슷하지만 다른 부분도 있었습니다. 수능만큼 인성이나 봉사활동 비중도 늘려야 한다는 겁니다. 장덕호 상명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는 "학부모 입장에서는 자녀의 봉사활동의 경우, 시간 등 노력이 많이 들어가는 부분이다 보니까 적절한 보상을 받아야 한다는 심리가 반영된 것 같다”고 분석했습니다.

■ 상위권 대학 입시 경쟁 여전…사교육 시키는 이유? “불안하니까”

교육에서 빠질 수 없는 현안은 사교육 문제이고 경감 정책이 쏟아져 나오지만, 사교육에 대한 부담은 더 커졌습니다.

20년 사이 자녀 사교육비 지출이 부담된다는 학부모 비율이 81.5%에서 94.3%로 12.8%포인트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럼 왜 사교육을 시키는지 이유를 살펴볼까요? "불안하기 때문에"라는 대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강산이 두 번 바뀌는 20년 동안 매번 ‘심리적 불안’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습니다. 2021년 조사에서 '남들이 하니까 심리적으로 불안하기 때문에'라고 답한 비율이 24.3%로 가장 많았고 2001년 조사에도 그 대답이 30.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또, 2021년엔 "남들보다 앞서 나가게 하기 위해서'라고 응답한 비율도 23.4%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불안감의 근원은 상위권 대학의 입시 경쟁은 여전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학령인구 절대적 감소와 상관없이 국민들은 상위권 대학 위주의 입시 경쟁이 계속될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대학진학 경쟁 전망 관련 질문에서 ‘전반적으로 완화되나 일류대 위주의 입시 경쟁은 유지될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2011년 32.2%에서 2021년 44.4%로 크게 늘었습니다.

장덕호 상명대 교수는 "학생 숫자가 줄고 있지만, 재수생은 크게 줄지 않고 있다"며 " 상위권 대학에 입학하려는 심리는 크게 바뀌지 않았다는 방증이고 인재 채용 등 사회 전반적인 문화나 인식이 바뀌지 않으면 교육을 바라보는 시선도 바뀔 수가 없다"고 답했습니다.

물론, 자녀의 성공을 바라보는 시선이 많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학 입시 결과의 희비에 모두가 웃고 우는 이 현상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겁니다. 7월 21일, 10년 단위 교육 정책을 수립하는 국가교육위원회 출범을 앞두고 이 여론조사 결과가 주는 무게감도 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