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日 등 주요국 국고채 금리 가파른 상승_스타 베팅 픽스_krvip

韓·美·日 등 주요국 국고채 금리 가파른 상승_무료로 상품을 획득하세요_krvip

선진국, 경기회복 기대 안전자산 선호↓…신흥국 채권은 강세 한국을 비롯한 주요국들의 국고채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최근 미국과 독일 등 선진국의 경제지표가 호조를 나타내면서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되살아난 덕분으로 풀이된다. 다만 신흥국들은 선진국의 양적완화에 대한 부담감과 '핫머니'(투기성 단기자금) 유입 등으로 금리 상승폭이 선진국보다 훨씬 작았다. 14일 한국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전날 한국의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2bp(1bp=0.01%) 오른 연 2.89%를 나타냈다.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지난주부터 가파르게 상승해왔다. 전주 마지막 거래일(지난 3일)에 연 2.74%를 나타냈던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지난 10일) 연 2.87%까지 올랐다. 일주일 만에 13bp 급등한 것이다. 최근 국고채의 가파른 금리 상승은 한국에서만 나타난 현상이 아니다. 금융투자업계와 현대증권에 따르면 같은 기간(지난 3일 대비 10일)에 미국의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연 1.74%에서 연 1.90%로 16bp 급등했다. 그밖에 영국(17bp), 프랑스(13bp), 일본(13bp), 캐나다(12bp) 등도 이 기간에 국고채 10년물 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반면에 같은 기간 신흥국들의 국고채 금리는 하락했다. 특히 인도(-16bp), 인도네시아(-15bp), 터키(-4bp), 중국(-3bp)의 국고채 10년물 금리가 크게 떨어졌다. '주요 20개국'(G20)의 지난주 국고채 10년물 금리의 평균을 살펴보면 선진국과 신흥국 간의 온도차가 더욱 확연하게 드러난다. G20 국가 가운데 '주요 7개국'(G7)의 지난주 평균 국고채 10년물 금리 상승폭은 13bp로 나타났다. 반면 G20에서 G7과 국고채 10년물을 발행하지 않는 사우디 아라비아, 아르헨티나 등을 제외한 나머지 10개국의 평균 국고채 10년물 금리 상승폭은 3bp에 그쳤다. 선진국들의 국고채 금리 상승에는 향후 경기회복에 대한 강한 기대감이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특히 미국의 고용지표가 호조를 띠면서 시장의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됐다. 지난주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008년 1월 이후 5년 4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여기에 세계 2대 수출국인 독일의 3월 수출도 상승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나면서 글로벌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키웠다. 최근 한국을 비롯해 인도, 유럽중앙은행(ECB), 호주중앙은행(RBA) 등 주요국들이 잇따라 기준금리를 인하, 양적완화 공조 분위기를 형성한 것도 안전자산 선호심리를 약화시키는 데 한몫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한국의 국고채 금리도 바닥을 쳤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박종연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연중으로 채권수익률이 저점을 확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하반기로 갈수록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 때문에 금리상승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반대로 신흥국 채권시장은 선진국에서 풀린 자금이 투기목적으로 집중되면서 강세를 띠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박유나 동부증권 연구원은 "신흥국의 자산가치가 높아질 것에 베팅하는 핫머니가 유입되면서 신흥국의 채권시장이 강세를 띠었다"면서 "향후 투기성격의 자금이 일시에 유출될 경우 신흥국 채권의 금리가 일시에 급등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선진국보다 경기회복 기대감이 부족한 점도 신흥국 채권시장의 강세 원인이다. 박혁수 현대증권 연구원은 "선진국의 무제한적 양적완화로 선진국의 경기회복 기대는 커졌지만, 내수기반이 취약한 신흥국은 자국 통화 강세에 따른 부작용을 더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