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할 수 있는데…” 사회 참여 ‘제자리걸음’_포커 테마 케이크_krvip

“잘 할 수 있는데…” 사회 참여 ‘제자리걸음’_해변 빙고에서 칩을 얻는 방법_krvip

[앵커]

발달장애인의 사회 참여와 인간다운 삶을 위해 그 권리를 보장한 발달장애인법이 제정된지 오늘로 8년이 됐습니다.

하지만 돌봄 부담은 여전히 대부분 가족에게 있고, 발달장애인들의 사회 참여는 아직도 갈길이 멉니다.

그 이유가 뭔지, 조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청소용품을 들고 부지런히 움직이는 사람들과 아랑곳하지 않는 동물들.

이곳은 특별한 유기동물 쉼터입니다.

개와 고양이를 돌보고 훈련시키는 사람들 모두 발달장애인.

["손! 잘했어요."]

1주일에 사나흘, 하루 4시간 일하는 이곳은 발달장애인들의 소중한 일터입니다.

[오은희/발달장애인 : "산책, 운동시키고 또 밥 먹이고..."]

유기동물들은 사람과의 신뢰를, 발달장애인들은 외부와 교감하는 법을 배웁니다.

[이혜민/발달장애인 : "은영이(고양이)가 먼저 다가왔어요. 애교도 부리고."]

그러나 이렇게 일하면서 사회적 교류를 하는 발달장애인은 전체 30% 수준입니다.

이 때문에 일자리가 아니더라도 발달장애인이 사회활동을 할 수 있도록 주간활동서비스가 도입됐습니다.

다른 장애인들과 체육활동을 하거나 원하는 수업을 들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지난해 이용자는 6천300명, 예산 40%가 남을 정도로 이용 실적이 저조합니다.

장애인들이 제공받는 활동지원서비스 총 시간에서 주간활동 시간이 차감되기 때문에 이용을 꺼리는 겁니다.

실제로 주간활동서비스를 이용한 경우 이동 보조 등 필수 활동 지원이 월평균 35시간가량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김기룡/중부대 특수교육학과 교수 : "활동 지원 서비스 급여를 일정 부분 차감하는, 함께 연동되어서 서비스가 제공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들이 주간 활동 서비스 참여를 저해하는..."]

발달장애인은 이동 등 필수 활동 지원을 못받을까봐 사회적 교류 기회를 놓치고, 가족들은 돌봄 부담이 늘어나는 악순환이 이어지지 않도록 정책 대안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촬영기자:김준우 허수곤/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이근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