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급증…환란 이후 저성장·고령화가 원인” _밴드 스포츠 라이브 포커_krvip

“자살 급증…환란 이후 저성장·고령화가 원인” _지불 중인 슬롯의 비율_krvip

외환위기 이후의 경제성장률 저하와 고령화의 진전,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 등의 경제.사회적 변화가 최근 우리나라의 자살률 급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경제학적 분석 결과가 제시됐다. 8일, 한국경제연구 제18권에 실린 '국가별 패널자료를 이용한 자살률 결정요인 분석' 보고서(유경원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과장. 노용환 서울여대 경제학과 교수 공동연구)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세계은행(WB), 세계보건기구(WHO)의 자료를 이용해 국가별 자살률의 차이를 가져오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 OECD 국가들의 1980∼2002년 기간 평균 자살률은 전체 인구 10만명당 13명 수준으로 남성(19.6명)이 여성(7.16명)에 비해 3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OECD 국가의 자살률을 5년 단위 추이를 통해 살펴보면 1980년 14명에서 1985년 14.2명, 1990년 13.4명, 1995년 12.5명, 2000년 11.9명, 2001년 11.5명, 2002년 11.9명 등으로 하향 추세를 나타냈다. 보고서는 그러나 우리나라는 지난 10여년간 평균 자살률이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으며 특히 1998년 경제위기 직후의 자살률이 급증한 점이 다른 나라와 다른 두드러진 특징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평균 자살률(인구 10만명당 자살자 수)은 1995년 11.8명에 불과했지만 1999년 16.1명, 2000년 14.6명, 2001년 15.5명, 2002년 19.1명, 2003년 24.0명, 2004년 25.2명 등으로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5년 기준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무려 26.1명으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자살률 배경 요인을 보다 엄밀하게 규명하기 위해 국가 고유의 지리적.문화적 요인들을 통제한 결과 자살률이 각 국가의 경제성장률.실업 측면에서는 경기역행적이고, 인구고령화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 등 사회.경제적 변화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분석 결과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1인당 국민소득이 증가하면 자살률 역시 상승하고, 성장이 정체돼 있거나 낮은 저성장 국가가 고성장 국가에 비해 자살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는 성장률이 높다가 점차 낮아져 안정적인 상태에 접어드는 중진국의 경우 자살률이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인구구조가 고령화돼 은퇴 이후의 인구 구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국가들의 경우 젊은 국가들에 비해 자살률이 높았고,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높을수록 남성의 가사분담과 과거의 전통적인 남성 권위의 상실, 경제의 경쟁 증대로 인한 새로운 스트레스 창출로 인해 자살률이 높아진다고 진단했다. 반면 가임여성들의 출산율이 높을수록 자녀에 대한 책임감, 가족이 주는 소속감 등으로 자살률을 낮추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우리나라와 같이 경제가 저성장 기조로 체질 변화를 꾀하고 급속한 인구 구조 및 사회 변화를 겪고 있는 국가들의 경우 자살률이 급증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한다"면서 "최근 우리나라의 자살률 급증은 경제.사회의 성장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종의 성장통으로 받아들여진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성장과 발전을 지속하면서도 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자살에 관한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있는 연구 결과가 요구된다"면서 "자살에 대한 국가적인 관심과 자살 예방 등 정책적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이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