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근무시간 줄더라도 여성 가사노동 줄지않아”_카지노의 아들_krvip

“직장 근무시간 줄더라도 여성 가사노동 줄지않아”_새로운 코나미 슬롯_krvip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호주 연구결과 소개 여성은 직장에서 일하는 시간이 줄더라도 가정에서의 가사노동은 줄지 않는다는 외국 연구결과가 나왔다. 여성에게 경제적 도움을 주고자 이른바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를 많이 만들더라도 여성의 삶의 질 개선에는 그다지 이바지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보건의료분야 연구공동체 시민건강증진연구소(이사장 김창엽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13일 이런 내용을 담은 호주 로즈 J. 박사 등의 '여성과 시간제 고용(Women and part-time employment)'이란 논문을 국내 소개했다. 이 논문은 호주에서 나오는 '사회학 저널(Journal of Sociology)'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진은 호주가 2006년에 성인 남녀 3천여 명을 대상으로 일자리 종류와 삶의 질의 관계를 조사한 자료를 연구에 활용했다. 연구진은 주간 근무시간 유형을 전일제, 30~34시간의 시간제, 15~29시간의 시간제, 14시간 미만의 시간제 등 네 가지로 나누고, 가정과 직장, 종합적 측면에서 '시간적 압박(time pressure)'의 정도로 측정했다. 즉, 근무시간 유형별로 개인이 생활에서 얼마나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고 있다고 느끼는지를 9점 척도로 평가했다. 근무시간이 짧으면 시간 압박 스트레스도 당연히 줄어들 것이라고 가정했다. 연구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주간 근무시간이 짧을수록 직장에서, 그리고 종합적 측면에서 '시간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대답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문제는 가정에서의 시간적 압박이었다. 여성은 시간제로 일하든, 전일제로 일하든, 아니면 아예 유급노동을 하지 않든 상관없이 가정에서의 시간적 압박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남성은 유급노동을 하지 않는 경우보다 전일제로 일할 때에 오히려 가정에서의 시간적 스트레스가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런 결과를 두고 남성은 유급노동을 한다는 이유로 가사노동에서 '유예'를 받았지만, 여성은 직장에서 '해방'되더라도, 다시 말해 직장 근무시간이 줄더라도 가정 영역에서 가사노동은 줄지 않고 되레 증가했다고 해석했다. 시민건강증진연구소는 "이 연구는 시간제 일자리로 노동시간을 줄이는 것은 필요하지만, 여성 삶의 질을 높이는 데는 미흡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면서 "효과가 불분명한 시간제 일자리보다는 정규직 일자리 창출에 힘쓰고 기업이 법정 근로시간을 지키도록 하 는 게 더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호주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출산 전후 경력 단절로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여성의 고용률을 높이고자 주 35시간 이하의 시간제 일자리를 장려했다. 전일제가 아닌 시간제 노동이 여성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었다. 이 덕분에 2008년 현재 호주에 서는 어린 자녀를 둔 여성의 63%가 유급노동에 종사하고, 이 중에서 60%는 시간제로 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