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아시아나 “임원 20% 감축” 外_돈을 버는 로봇 무료 다운로드_krvip

금호아시아나 “임원 20% 감축” 外_겟앰 잠수정 스템_krvip

<앵커 멘트> 미국발 금융위기의 충격이 세계 경제를 강타한지도 이제 2년이 지났습니다. 새해를 맞은 세계경제, 앞으로의 회복 전망과 변화된 경제 지형도를 국제팀 서영민 기자와 함께 알아봅니다. <질문> 우선 올해 세계경제 전망인데요, 올해부터는 회복이 본격화되겠죠? <답변> 네, 모두가 그러길 바라고 있고, 실제로도 세계경제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점차 경기 후퇴국면을 벗어나고 있습니다. 이제 경제위기의 충격은 지나갔다는 분석이 대세를 이루고 있는데요, 국제기구나 금융기관들의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4.5% 안팎으로 상당히 높습니다. 돋보이는 건 역시 선진국보다는 신흥 개발국들입니다. 상황이 비교적 괜찮다는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 전망치가 2.8% 정도인데 반해, 중국 등 아시아 등지의 신흥국들은 평균 6.3% 정도로 예상됩니다. <질문> 세계경제 회복을 신흥 개발국들이 주도한단건데, 그 중심에 아시아가 있죠? <답변> 네, 세계경제의 중심이 서구에서 아시아로 넘어온다는 얘기, 이제는 서서히 현실이 돼가고 있습니다. 기폭제는 지난 금융위기 였습니다. 미국과 유럽이 성장동력 쇠퇴와 내수 부진으로 금융위기와 힘겹게 싸우는 동안, 중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는 '성장의 엔진'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주식시장은 단기적으로 급락한 뒤 곧바로 회복했고, 외국인 직접투자도 급증해 세계의 투자자금이 아시아에 집중됐습니다. 외환보유고는 중국과 일본, 우리나라 등 상위 10개 나라 중에 아시아 국가가 7개나 됩니다. 막대한 자금을 바탕으로 한 아시아 경제의 영향력이 그만큼 커진다는 의미겠죠? 세계경제 양대 강국, G2로 자리매김한 중국은 올해도 지칠줄 모르는 8% 이상의 고속성장이 예상되구요, 인도와 인도네시아 등도 고속 성장을 지속합니다. <질문> 그러나 눈을 전체 세계 경제로 돌리면 불안요소도 여전하죠? <답변> 네 회복이 가시화됐다곤 하지만 아직까지 민간 시장이 탄력을 받은 건 아닙니다. 자생적 회복이 아니라 불안하다는 얘긴데요. 그만큼 부정적인 지표도 많습니다. 실업률 지표가 대표적인데 미국과 유럽 일부 국가는 10% 대의 살인적인 실업대란을 겪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가계부채와 소비침체가 여전할 수 밖에 없고, 두바이 사태에서 보듯 상업용 부동산 경기도 여전히 위태롭습니다. 각국 정부의 재정적자도 걱정되는 부분인데, 신용경색이 우려되는 동유럽 일부 국가 등에서 국지적인 금융위기가 발생한다면 더 어려워지겠죠. 그래서 정부부분 경기부양책과 기업 재고조정의 효과가 줄어드는 올 하반기 이후가 문제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질문> '출구전략'이 중요한 이유도 이런 상황 때문이겠죠? <답변> 네 정부가 경기부양책을 거둬들이면서 시장개입을 줄이는 시도를 흔히 출구전략이라고 부르는데요, 현 상황에서는 이 출구전략을 얼마나 무리없이 진행시키냐가 중요합니다. 금리 인상이나 유동성 공급 중단 등이 대표적인 출구전략 신호인데 이 신호를 너무 빨리 내보내면 시장에 충격이 됩니다. 시장이 준비가 안됐을 경우 충격으로 다시 경기침체가 올 수 있고 이게 이른바 더블딥입니다. 그렇다고 너무 기다려서 시기를 놓쳐버린다면 인플레이션 등 자산거품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절묘한 타이밍을 잘 잡아야 한단 얘긴데, 국제적인 공조체제 확립도 중요할 겁니다. 구체적인 시기는 미국의 경우에는 하반기 이후, 신흥국들은 이보다 조금 일찍 출구전략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