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마트폰 판매량, 4년간 ‘제로 성장’ 전망_돈을 벌 수 있는 크리스마스 공예품_krvip

국내 스마트폰 판매량, 4년간 ‘제로 성장’ 전망_도박 합법화 법안_krvip

인구수 대비 시장 포화…"무게중심 중저가 스마트폰으로" 국내 스마트폰 시장이 올해부터 정체 양상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31일 미국의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는 2008년 이후 매년 두자릿수 이상 성장해온 스마트폰 판매량이 올해를 기점으로 성장 폭이 한자릿수에 그치고 3년 뒤부터는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스마트폰 시장 규모는 지난 2008년에 전년도인 2007년(24만대)보다 31.7% 성장한 32만대를 기록하며 본격적인 성장을 시작했다. 2010년에는 전년보다 무려 717% 성장해 85만대 수준이었던 시장 규모를 단숨에 694만대로 넓혔다. 지난해에도 2011년(1천750만대)보다 75% 성장한 3천70만대를 기록했다. 그러나 SA는 올해 국내 스마트폰 판매량이 지난해보다 불과 8% 늘어난 3천310만대에 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내년과 2015년에 각각 3천360만대와 3천380만대로 판매량 정점을 찍고, 2016∼2017년에는 매년 1%씩 마이너스 성장해 결국 2017년에는 올해와 같은 3천310만대를 판매할 것으로 SA는 전망했다. 이 예상대로라면 4년간 성장률이 0%를 기록하게 되는 셈이다. 이처럼 스마트폰 시장이 정체에 접어드는 것은 국내 인구가 5천만 명인 상황에서 자연스러운 일로 분석된다. 한 전자업계 관계자는 "스마트폰 시장은 이미 어느 정도 성숙기에 접어들었으나 지난해 롱텀에볼루션(LTE) 스마트폰에 대한 수요가 늘고 기업마다 마케팅이 강화하면서 한 차례 더 성장한 것"이라며 "당분간 스마트폰 판매 시장은 규모를 유지하면서 정체 현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이런 시장에서는 무게 중심이 최고급 스마트폰에서 중저가 스마트폰으로 옮겨간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최근 삼성전자·LG전자·팬택 등 제조사들은 갤럭시 팝, 옵티머스 LTE3, 베가S5 스페셜 등을 앞다퉈 내놓으며 중저가 시장 공략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제조사들은 또 국내보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낮은 해외 시장을 적극적으로 발굴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흥시장에 속하는 국가들은 2017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두자릿수 이상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시장 규모 2천만대 이상 국가의 연평균 성장률은 인도가 30.2%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인도네시아(23.4%), 멕시코(13.8%), 브라질(13%), 러시아(11.4%)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