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4곳 “올해 환율 급등 반영해 판매가 올렸다”_지거나 이기거나_krvip

기업 10곳 중 4곳 “올해 환율 급등 반영해 판매가 올렸다”_핫도그 카지노 레시피_krvip

기업 10곳 가운데 4곳이 올해 환율 급등에 따른 비용 증가분을 반영해 국내 판매 가격을 올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은행은 오늘(26일) ‘지역경제 보고서’에서 이런 내용을 포함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이 조사는 ‘환율상승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지난달 10부터 30일까지 327개 업체(제조업 209개·대기업 206개 포함)를 대상으로 이뤄졌습니다.

조사 기업의 60.2%는 “올해 큰 폭의 환율 상승에도 국내 공급가격(원화표시가격)을 인상하지 않았다”고 답했습니다.

이유로는 경쟁사 가격 유지(20.3%), 내부 정책상 가격 인상 억제(16.2%), 약한 시장 지배력(15.5%) 등이 거론됐습니다.

나머지 39.8%는 환율 상승을 반영해 국내 가격을 올렸는데, 이들 가운데 61.5%는 ‘환율 변동분의 20% 이하’만 가격에 반영했습니다. 다만, 정유·화학 업종에서는 환율 변동분 반영 비율이 80∼100%에 이르는 기업도 18.2%나 있었습니다.

환율 상승이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묻자 “긍정적”(34.5%)이라는 답의 비율이 “부정적”(33.2%)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한은은 “이번 조사에서 외화부채보다 외화자산이 더 많아 외화순자산이 양(+)인 업체가 음(-)인 업체보다 많았기 때문에, 환율 상승에 따른 원가 상승과 영업이익 감소 효과보다 영업외손익의 증가 효과가 더 컸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금융상품을 통해 수출입 거래의 환율변동 위험을 회피(환헤지)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수출업체의 39.6%만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환헤지를 하는 기업의 상당수도 환헤지 비율이 순수출액(수출액-수입액)의 20% 이하에 그쳤습니다.

환헤지를 하지 않는 가장 중요한 이유로는 ‘외환 수취·지급 시점 조정 등을 통해 환위험을 관리하기 때문’(26.8%)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재원 한은 지역경제조사팀장은 “환헤지 업체 비중이 40%에 불과한 데다 헤지 비율도 20% 이하인 경우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기업들이 환율변동 위험에 많이 노출돼 있다는 뜻”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은행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