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신도시 공공기관 폭리” _베토 카레로 숙소_krvip

“판교 신도시 공공기관 폭리” _집에서 근육량을 늘리는 비타민_krvip

<앵커 멘트> 민간 건설업체들이 신도시 아파트를 분양하면서 폭리를 취했다는 의혹이 잇따라 터져 나오고 있는 가운데 이번엔 주공과 토공 등 공공부문에서도 1조 원 이상의 폭리를 위했다는 주장이 나와 논란을 빚고 있습니다. 어떻게 된 건지 정윤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녹취>박광서(신도시기획과장/지난해 3월) : "이윤이 얼마나 남는다는 거죠? 저희가 천억 정도밖에 안남아요." 대한주택공사와 한국토지공사, 성남시가 남는 이윤이 거의 없다며 공동개발한 판교 신도시. 주공이 분양한 판교 아파트의 평당 평균 건축비는 523만 원, 하지만 지난해 주공이 자체정리한 공동주택의 공사비 분석자료를 보면, 평당 평균 건축비는 362만 원 수준, 161만 원이 차이납니다. 분양면적이 29만 평, 모두 4천 6백억 원이 차액이 생기는데 경실련은 이 만큼이 폭리라고 주장합니다. 택지비도 마찬가지... 주공과 토공, 그리고 성남시가 밝힌 택지비는 총 2조 5백억 원, 경실련이 추정한 조성원가 357만 원을 적용하면, 모두 1조 7백억 원의 차액이 발생합니다. 건축비까지 합하면 무려 1조 5천 4백억 원, 경실련은 이 부분의 거품을 빼면 판교의 분양가는 평당 530만 원까지 낮출 수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신영철(경실련 정책위원) : "공공도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제대로 원가로 분양한 게 아니라, 그래서 상당히 많은 차액을 취해왔다는 게 사실입니다." 특히 민간업체도 58개 항목의 분양원가를 공개하는 데, 주공은 7개 항목만 공개하고 있는 게 더 큰 문제라고 주장했습니다. 이곳 판교 신도시는 천정부지로 치솟는 강남의 집값을 잡기 위해 건설됐습니다. 하지만 결국 공공과 민간의 폭리구조 속에 집값 폭등의 진원지가 됐다는 게 경실련의 주장입니다. 그러나 주공과 토공은 경실련이 건축비와 택지비를 주택 품질과 실제 택지조성원가를 무시한 채 산정했고, 임대단지와 학교 등은 분양원가 이하로 건설해 수천억 원의 손실이 생기기 때문에 실질적인 이윤은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인터뷰>이형주(주공 주택공급처 팀장) : "기본적으로 분석에서 오류를 범하고 있다. 주공이 판교에서 수익을 남기는 부분이 있고 손실을 보는 부분이 있다." 잇따른 분양가 폭리 공방, 국민들의 의혹이 풀리기 위해선 이젠 사정당국이 진실규명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정윤섭입니다.